논문 투고 규정
2020년 2월 1일 제정
2022년 1월 7일 개정
2025년 1월 10일 개정
1. 원고 공모: 학술지와 연구센터 홈페이지에 게시하고, 유관기관에의 홍보 등의 방법을 활용한다.
2. 발간 횟수 및 발간일: 발간일은 매년 3월 30일, 7월 30일, 11월 30일로 하며, 연 3회 정기적으로 발간한다.
3. 투고 마감: 원고는 연중 수시로 접수한다.
4. 원고 종류: 연구논문, 논평, 서평 등. 단, 원고가 학위논문의 축약본이거나 일부일 경우 명시해야 한다.
5. 투고 요령: 집필요강에 지정된 원고 작성 요령에 따라 작성된 파일을 사회통합연구센터 홈페이지의 온라인논문투고시스템을 통해 제출한다. 단, 전산 장애 등으로 인해 정상적인 온라인투고가 어려울 경우에 한해 아래의 전자우편으로 전송할 수 있다.
1) 사회통합연구센터 홈페이지(http://www.e-sir.org) 접속 후, ‘온라인논문투고신청’ 메뉴 클릭
2) 『사회통합연구』 편집위원회 이메일: sircedit@kangwon.ac.kr
3) 논문을 투고할 때는 투고논문 1부와 함께 다음의 각 서류들을 제출해야 한다(투고신청서와 연구윤리 확인서 및 논문사용권 등 위임 동의서는 연구센터 홈페이지 자료실에서 다운받을 것).
6. 원고 작성 형식:
1) 투고신청서에는 제1저자(교신저자 포함)와 공동저자의 구분, 투고자의 소속과 연락처가 명시되어한다.
2) 투고 논문은 본 연구센터가 규정한 ‘원고작성요령’에 따라야 하며, 제목, 요약문(국문 및 외국어), 주제어(국문 및 외국어), 본문, 참고문헌 등을 포함한 전체 분량은 200자 원고지 150매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심사자가 저자를 인지할 수 있는 표현이나 서술은 피해야 한다.
3) 국문 요약은 논문의 주요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자세하고, 이해하기 쉽게 작성하여야 한다. 특히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결과, 논문의 의의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며, 1,000자~ 2,000 자 이내로 작성한다. 외국어 요약은 국문 요약을 직역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4) ‘원고 작성 요령’은 사회통합연구센터 홈페이지에 게시되어 있다.
7. 저자가 여러 명일 경우: 논문 작성에 기여한 정도에 따라 제1저자, 교신저자, 공동저자 등으로 구분하며, 투고신청서에 명기하여야 한다.
8. 원고 분량: 200자 원고지 150매 이내로 작성한다. 부득이하게 초과할 경우, 편집위원회의 동의를 사전에 구할 수 있다.
9. 게재료는 논문 1편 당 100,000을 납부해야 한다.
1) 입금계좌: 신한은행 100-032-641669 (예금주: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2) 현금영수증/세금계산서 발급을 원하는 경우, 성함과 입금 금액, 국세청에 등록된 휴대폰번호 또는 카드번호를 편집국 메일(sircedit@kangwon.ac.kr)로 요청해야 한다.
10. 저자들의 논문이 『사회통합연구』에 게재될 경우, 본 논문에 따른 권리, 이익, 저작권 및 디지털 저작권에 대한 모든 권한 행사를 본 강원대학교 사회통합연구센터에 양도한다. 저자(들)는 연구윤리 준수 서약서, 논문 저작권 이양 동의서를 원고 제출 시 함께 제출하여야 한다.
11. 본 규정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일반적인 관례에 따른다.
원고 집필 요강
2020년 2월 1일 제정
I. 원고의 제출 및 게재
1. '사회통합연구'에 발표하는 논문은 독창성을 갖는 것으로서 미발표된 것이어야 한다.
2. '사회통합연구'에 게재를 원하는 논문이나 글은 홈페이지의 전자투고 시스템을 활용하거나 아래의 전자우편으로 전송하여야 한다.
Email: sircedit@kangwon.ac.kr
3. 제출원고는 우리말로 쓰인 것으로 아래의 원고 작성지침에 따른 것이어야 한다.
4. 제출된 원고는 3명의 평가자의 익명심사를 거치며, 평가자가 수정을 요청할 경우, 원고 제출자는 이에 응하거나 납득할 만한 답변을 전자우편으로 제출해야 한다. 심사결과 부적격 판정이 내려질 경우나 수정제의에 대한 답변이 없을 경우 편집위원회는 원고 게재를 거부할 수 있다.
Ⅱ. 원고 작성 요령
1. 원고 논문은 워드프로세서를 사용하여 백색 A4 용지에 단면으로 제출해야 한다. 글자 크기는 10으로 하며 여백은 용지의 상하좌우 끝에서 3센티미터(약 10글자 정도) 두며 한 페이지당 총 35줄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2. 원고의 분량은 각주, 참고문헌, 도표 등을 포함하여 25매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3. 연구단편(research notes)은 10매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4. 원고는 제목표지, 국문요약, 본문, 각주, 참고문헌, 표, 그림, 부록 및 영문요약의 순서로 나누어 작성한다.
5. 원고는 한글 사용을 원칙으로 하고 불가피하다고 인정될 때만 한자를 괄호 속에 함께 쓰도록 하며, 기타의 외래어는 첫번에 한하여 한글 원문 뒤에 괄호 속에 함께 쓴다.
6. 원고의 제목표지에는 논문의 제목, 필자의 이름, 소속, 연락처가 수록되어야 한다. 필자가 두 사람 이상일 경우에는 옆으로 나란히 기재한다. 감사의 글이나 연구지원기관 등은 *표를 하여 같은 면에 각주로 기재한다.
7. 원고의 제목표지에는 논문의 핵심단어를 국영문으로 3-5개 제시한다.
8. 국문요약(연구단편 포함)은 200자 원고지 5장 또는 A4 용지 단면 1/2장 이내로 작성한다.
9. 본문에서는 논문의 제목을 본문의 첫 장에 기재한다. 논문의 공정한 심사를 위하여 본문에 논문 심사위원이 필자를 알아볼 수 있는 서술은 삼가야 한다.
세부적인 본문 서술 요령은 다음과 같다.
1) 본문은 내용의 구성을 명료하게 나타낼 수 있도록 3단계 정도의 소제목으로 이루어 지도록 한다. 소제목은 Ⅰ., 1., 1) 형식으로 단계적으로 구성한다.
2) 저술 인용방식은 저자의 이름과 저서의 출판년도를 기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필요한 경우 인용 페이지를 기재하도록 한다. 같은 저술을 되풀이 인용할 때에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한다. 구체적인 것은 아래에 제시한다.
3) 본문과 관련은 되지만 본문에 포함될 본질적인 내용이 아닌 것으로 언급이 필요한 경우나, 재인용의 경우 원래의 저서를 밝힐 필요가 있을 때는 그 내용이 언급된 본문 페이지 하단에 각주로 처리한다.
4) 각주는 논문단위로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하여 작성한다. 글자크기는 8로 하고, 전체 각주의 양은 200자 원고지 5장 이내로 한다. 각주의 양이 500자를 넘으면 부록으로 처리한다.
10. 참고문헌은 본문에 인용 또는 언급된 것으로 제한한다. 한국어 문헌은 저자 이름의 가나다 순으로 먼저 제시하고 그 다음에 외래어 문헌을 알파벳 순으로 제시한다. 단, 중국어 및 일본어 저자명은 괄호 속에 영문 또는 한글 표기를 한다. 참고문헌 작성의 구체적인 사항은 아래에 제시한다.
1) 같은 저자에 의한 저술을 두 편 이상 제시할 때는 출판년도가 이른 순서대로 나열한다.
2) 출판예정인 저술을 제시할 때는 출판년도 대신 "출판예정"이라고 기재하고 출판될 예정인 학술지나 책의 이름을 명기한다. 학위논문이나 미간행 저술은 발표된 장소와 날짜를 기재한다.
3) 같은 저자에 의한 저술로서 같은 연도에 출판된 것이 두 편 이상일 때는 본문에서 인용된 순서대로 출판년도에 알파벳 a, b, c등을 부기하여 구분하고 차례대로 나열한다.
4) 저자가 2인 이상일 때는 모든 저자의 이름을 기재해야 한다.
- 다음의 예는 위에 기술한 참고문헌 작성 원칙을 따른 것이다.
(1) 서적
(2) 학술지
(3) 미간행논문
(4) 번역서
11. 표는 다음과 같이 작성한다.
1) 표는 별지에 하나씩 작성한다.
2) 표의 제목은 "<표 1> ...."의 형식으로 작성하여 표의 위에 적는다.
3) 주는 표의 아랫부분에 "주:"라고 쓴 다음 차례로 제시하며, 아라비아 숫자로 구분한다.
예, "주: 1) +는 수용을 나타낸다.“
4) 출처는 "자료:"라고 쓴 다음 밝힌다.
5) 본문에 표가 들어갈 자리를 명시한다. 예, "<표 1> 여기에 제시“
6) 각 표의 칸과 행에는 적절한 제목을 반드시 붙여야 한다.
7) 통계적 유의도는 *: p <.05, **: p<.01, ***: p<.001와 같이 표기한다.
8) 표의 선은 맨 위와 아래의 선 및 첫 번째 열의 밑선까지만 긋도록 한다.
12. 그림은 다음과 같이 작성한다.
1) 그림은 별지에 하나씩 작성한다.
2) 그림의 제목은 "<그림 1> ...."의 형식으로 작성하여 그림 아래에 적는다.
3) 주는 그림의 아랫부분에 "주:"라고 쓴 다음 차례로 제시하며, 아라비아 숫자로 구분한다.
예, "주: 1) +는 수용을 나타낸다.“
4) 출처는 "자료:"라고 쓴 다음 밝힌다.
5) 본문에 그림이 들어갈 자리를 명시한다. 예, "<그림 1> 여기에 제시"
6) x축, y축, 곡선, 면적 등 표현된 각 부분에 해당하는 적절한 제목을 반드시 붙여야 한다.
7) 범례는 하단에 표시한다.
8) 그림은 모두 흑백으로 그린다.
13. 이 요강에 미비된 기타 사항은 본 연구센터 편집위원회에서 발행해 온 '사회통합연구'의 관례에 따른다.
투고 안내
게재료는 논문 1편 당 100,000을 납부해야 한다.
1) 입금계좌: 신한은행 100-032-641669 (예금주: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2) 현금영수증/세금계산서 발급을 원하는 경우, 성함과 입금 금액, 국세청에 등록된 휴대폰번호 또는 카드번호를 편집국 메일(sircedit@kangwon.ac.kr)로 요청해야 한다.